728x90
반응형
개념정리 1 - 지진위험도
1) 지진위험도
: 과거의 지진발생자료와 지진위험도 평가기법(지질 및 지반특성 분석, 활성단층 분석 등)을 통해 지역별/재현주기별로 평가한 예상지진의 세기(유효지반가속도)
2) 국가지진위험지도
: 지진위험도의 지리적 분포를 재현주기별로 나타낸 지도 (50년/100년/200년/500년/1,000년/2,400년/4,800년)
개념정리 2 - 지진구역 및 지진구역계수
1) 지진구역
: 지진위험도에 따라 크게 두개의 그룹으로 묶은 분류체계
2) 지진구역계수
: 재현주기 500년의 지진위험도로 정의된 유효지반가속도
개념정리 3 - 최대고려지진(Maximum Considered Earthquake, MCE)과 유효지반가속도
1) 최대고려지진
: 내진설계에서 고려하는 가장 큰 지진(재현주기 2,400년 지진의 유효지반가속도). 중약진 지역에 해당하는 우리나라는 재현주기 2,400년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만 통계적으로 매우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기 위함이다.
2) 유효지반가속도(설계스펙트럼가속도 산정을 위한)
: 재현주기 2,400년 지진의 유효지반가속도로 변환하기 위해 (재현주기 500년 지진으로 정의된)지진구역계수에 위험도계수(2)를 곱해 산정
3) 참고
: 확률론적으로 이 기준의 설계방법에 따라 인명안전 수준을 만족시키는 경우, 그 보다 1.5배 큰 유효지반가속도 수준의 붕괴방지 수준이 만족됨. 따라서, 붕괴여유도 1.5 만큼 기본설계지진을 완화하여 설계할 수 있다.(설계스펙트럼가속도를 산정할 때 2/3을 곱하는 이유)
참고자료
END.
728x90
반응형
'1. 건설기준 탐구 >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성능목표 (0) | 2019.09.30 |
---|---|
04. 건축물의 중요도계수 / 내진등급 / 내진설계 중요도계수 (0) | 2019.09.30 |
03. 지반의 분류 / 지반조사 / 지반분류의 기준면 (0) | 2019.09.27 |
01.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 의 설계절차 (0) | 201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