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oming a structural engineer

Structural Engineering Blog.

"Today is the first day of the rest of your life."
728x90
반응형

최신 글 목록

more

02. Bluebeam Reve

건축설계(구조)분야에서 도면을 활용한 협업의 어려움 실무에서, 도면에 대한 의견을 건축설계사, 시공사, 발주처와 주거나 받을때 일일히 해당 도면을 열어 확인하는 것이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일이 아니다. 많은 시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시간을 들여 수행한다 하더라도 인간이 하는 일인 만큼 오류가 날 가능성이 언제나 존재한다. 특히 아래의 대표적인 작업들이 그렇다. 이전 도면과 바뀐 도면의 비교(변경된 부분 찾아내기) 변경한 부분의 추적관리 주석 달기 (Adobe PDF 프로그램으로 작업할 때) 장인정신? 뒤쳐지는 디지털화? 적어도 내가 거쳐왔던 조직에서 많은 엔지니어가 수기로 작성한 자료들로 건축설계사무소, 시공사, 감리, CM 또는 발주처와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수기로 멋지게 작성한 검토서는 받는 사람에..

Software & Program 2021.01.22 0

01. 기술사 시험일정 2021년 123회 / 124회 / 125회

기술사 시험일정 및 종목 Q-net에 올해 기술사 시험일정이 공지됐다. 기술사 시험은 연간 3회 시행되는데 회차마다 시행하는 종목이 다르다. 특히, 수험자가 적은 종목은 그 중에서 1회나 2회 정도 응시가 가능하다. 다행이 건축시공, 건축구조처럼 응시자가 매회 꾸준히 있는 분야는 예외 없이 매 년 3회 응시할 수 있다. 회차별 응시가능 종목은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www.q-net.or.kr/crf021.do?id=crf02101&gSite=Q&gId= 기술사 시험일정 | Q-net www.q-net.or.kr 건축구조기술사 필기 및 실기 수수료(응시료)

PE exam 2021.01.21 0

01. 건강검진 (feat. 영등포병원 2021건강하소 건강검진 캠페인)

[건강검진기본법]의 건강검진 제3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건강검진”이란 건강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목적으로 제2호에 따른 건강검진기관을 통하여 진찰 및 상담, 이학적 검사, 진단검사, 병리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 의학적 검진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2020년 일반 건강검진 대상자? 일반건강검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비용을 전액 부담하는 건강검진이다. 건강보험 가입자 구분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매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안내하고 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비사무직은 매년, 사무직인 경우 격년으로 검진을 받도록 되어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나의건강관리-건강검진정보-검진대상조회 를 확인하면 올해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Health 2021.01.19 0

15. 국토안전관리원 인재교육센터 기술자 교육 / 정밀안전진단 교육

국토안전관리원 인재교육센터 건축 분야의 정밀안전진단 교육을 이수해야 정기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 그리고 정밀안전진단 책임기술자로 용역을 수행할 수 있다. 정밀안전진단 교육은 국토안전관리원 인재교육센터(구 시설안전관리공단)에서 주관하고 있다. 환급과정을 통해 교육비의 일부를 돌려 받을 수 있는데 소속된 회사의 규모에 따라 환급금이 다르게 적용된다. 올해 2월에 예정된 교육은 2월 중순인데, 벌써 312기 라니 정밀진단 교육을 이수한 기술자가 얼마나 많을지 미루어 짐작이 가능하다. 매월 1기수가 교육을 이수한다고 가정할 때, 거의 30년 가까이 시행해야 가능한 기수다. 건설산업교육원 국토교통부령으로 지정된 종합교육기관에서 건설기술 진흥법에 의한 법정 직무교육(정밀안전진단 교육 등)을 받을 수 있다.

3. 안전진단 탐구 2021.01.16 0

14. 책임기술자

'시설물안전법 시행령' 제9조(책임기술자의 자격 등) 안전점검등 및 성능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책임기술자의 자격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별표 5] [시행일 : 2023. 2. 21.] 제3호나목의 개정규정 중 건축 분야 정밀안전진단 책임기술자의 실무경력 요건에 관한 사항 비고 1. 책임기술자의 기술등급 및 인정범위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별표 1을 준용한다. 2. 건축 직무분야의 국가기술자격 종목에서 건축기계설비, 건축설비 및 실내건축은 제외한다. 3. "건축사"란 「건축사법」 제7조에 따른 자격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4. 자격요건을 갖추려면 기술자격 요건과 교육 및 실무경력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이 경우 교육 및 실무경력 요건은 기술자격 요건 취득 여부와 관계없..

3. 안전진단 탐구 2021.01.15 0

13. 건축물 외관조사

건축현황조사(공통) 건축물의 현황조사는 부동침하현상, 주변환경 및 부대시설 상태, 용도 및 구조변경 등의 조사로 구분하여 아래의 점검항목에 대한 외관조사를 실시한다. 세부내용 점검부위 점검사항 기울기 부등침하나 외력에 의한 구조물 및 부재의 수평/수직 변형의 기울기 측정 (1)대형유리의 파손 (2)지붕파라펫의 균열 (3)내외벽체의 경사균열 발생 (4)각종 개구부 모서리 변형 및 경사균열 건축물의 형태 및 용도 변경사항 건축물의 평면/입면/단면의 구조변경과 실의 용도변경 여부 - 변경 전후의 내용(위치, 모양, 규격, 마감재 종류 등), 변경시기, 특이사항 등을 상세히 기록하며 필요시에는 도면에 표기 첨부한다. 특히, 사용하중 초과나 집중 및 기계설비에 의한 진동하중 발생여부를 중점 조사한다. 구조부재의 ..

3. 안전진단 탐구 2021.01.15 0

12. 건축 진단 흐름도

시설물 진단기법 - 건축분야 시설물 진단 흐름 탐구 국토안전관리원에 올라온 시설물 진단기법을 알아보기 쉽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설계도서 및 기존자료를 검토하는 것을 시작으로 현장에서 외관조사, 구조 재료의 품질조사 및 시험, 지반조사 등을 토대로 시설물의 내구성을 조사합니다. 또한, 채취한 재료 시편의 정적 재하시험 결과를 토대로 시설물의 내하력을 조사합니다. 충분한 데이터가 수집되면 이를 바탕으로 안전성을 평가하고 종합적인 분석 및 보고서를 작성하는 순서로 진행합니다. 정밀안전진단 이렇게 한다(건축편) - 국토안전관리원 YouTube 채널 13. 건축물 외관조사 탐구 건축현황조사(공통) 건축물의 현황조사는 부동침하현상, 주변환경 및 부대시설 상태, 용도 및 구조변경 등의 조사로 구분하여 아래의 ..

3. 안전진단 탐구 2021.01.15 0

11. 안전점검 후 조치

중대한 결함 통보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자는 해당 시설물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중대한 결함등을 발견한 경우 그 사실을 관계 법령에 따라 해당 시설물의 관리자로 규정된 자나 해당 시설물의 소유자(이하 “관리주체”라 함) 및 관할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구청장은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하며, 이하 “시장·군수·구청장”이라 함)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2조제1항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8조제1항제1호, 제7호, 제9호부터 제11호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19조 및 별표 3 제6호 시설물기초의 세굴 건축물의 기둥·보 또는 내력벽의 내력(耐力) 손실 시설물의 철근콘크리트의 염해(鹽害)..

3. 안전진단 탐구 2021.01.14 0

10. 안전점검의 실시시기 / 위반 시 제재사항

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및 성능평가의 실시시기 제8조제2항, 제10조제1항 및 제28조제2항 관련 최초로 실시하는 건축물에 대한 정밀안전점검은 준공일 또는 사용승인일을 기준으로 4년 이내에 실시합니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별표 3 비고 5. 최초로 실시하는 건축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은 준공일 또는 사용승인일 후 10년이 지난 때부터 1년 이내에 실시합니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별표 3 비고 6. 1. 안전등급이란 영 제12조 및 영 별표 7에 따른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말한다. 2. 준공 또는 사용승인 후부터 최초 안전등급이 지정되기 전까지의 기간에 실시하는 정기안전점검은 반기에 1회 이상 실시한다. 3. 제1종 및 제2종 시설물 중 D·E등급 ..

3. 안전진단 탐구 2021.01.14 0
728x90
반응형